계란 중량규격 명칭 변경 신중해야 |
|||
---|---|---|---|
작성일2025-09-29
작성자대한산란계협회
|
|||
100 |
|||
계란산업을 두고 정부와 농가간 불협화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사육면적 확대를 두고 1년이 넘도록 거센 논란을 지속하다 2년 유예 발표로 잠잠해지는가 싶더니 최근 정부가 난데없이 계란 중량 규격 명칭 변경을 추진해 말썽을 빚고 있다. 정부는 지난 22일 지난 반세기가 넘도록 통용되던 왕·특·대·중·소란으로 표시되던 것을 XXL·XL·L·M·S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이 어떤 계란이 더 큰지 헷갈려 왔기 때문에 바로잡겠다는 게 명분이다. 또 껍데기에도 '판정' 대신 1+, 1, 2등급이 인쇄된다. 산란일자, 농가고유번호, 사육환경번호는 기존처럼 표시되며 등급 옆에 함께 적히게 된다. 계란등급판정 제도는 2004년 도입된 이후 21년 만에 개편되는 셈이다. 정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가칭)을 오는 10월 발표할 예정이다. 문제는 정부가 계란 중량규격 명칭 변경을 추진하면서 양계협회, 산란계협회 등 4개 가금단체의 분명한 반대 입장을 수렴했으면서도 아랑곳 하지 않고 변경을 강행했다는 것이다. 가금단체들은 정부의 일방적인 제도 변경은 단순한 표기 문제가 아니라 계란산업의 운영 전반과 소비자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검토와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더욱이 국내 계란유통은 기존 규격에 맞춘 생산, 포장, 판매 시스템이 구축돼 있어 아무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갑작스런 명칭 변경으로 포장재 교체, 유통 안내 수정, 소비자 홍보 등 추가적인 비용과 혼선이 우려되고 있다. 가금단체들은 또다시 막무가내로 중량규격 명칭 변경을 추진할 경우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정부가 일부러 대한민국 계란산업에 망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면 농가들의 목소리를 흘려듣지 않기를 바란다. 출처: 농업인신문 |
대한산란계협회 홈페이지 회원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지는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